맨위로가기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첫 경기를 시작으로, FIFA 월드컵과 CONCACAF 골드컵 예선에 참가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5년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인해 축구 활동이 중단되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2018년 윌리 도네치 감독 부임 이후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23년 현재, 리 보이어 감독 체제 하에 있으며, 알렉스 다이어가 최다 출전 기록을, 라일 테일러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은 북중미카리브해 축구 연맹 소속으로 월드컵 17회 본선 진출, CONCACAF 골드컵 12회 우승 등 북중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월드컵에서는 16강의 벽을 넘지 못하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은 북중미카리브해 축구 연맹 소속으로 월드컵 17회 본선 진출, CONCACAF 골드컵 12회 우승 등 북중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월드컵에서는 16강의 벽을 넘지 못하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정식 명칭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에메랄드 보이즈
협회모토세랫 축구 협회
연맹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하위 연맹카리브 축구 연맹
FIFA 코드MSR
홈 경기장블레이크스 에스테이트 스타디움
기술 정보
감독리 보이어
주장라일 테일러
최다 출장 선수앨릭스 다이어 (36회)
최다 득점 선수라일 테일러 (13골)
FIFA 랭킹
현재 FIFA 랭킹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FIFA 랭킹165위
최고 FIFA 랭킹 달성일2014년 8월
최저 FIFA 랭킹206위
최저 FIFA 랭킹 달성일2011년 1월 – 2012년 1월, 2012년 6월, 2012년 8월 – 2012년 9월
Elo 랭킹
Elo 랭킹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Elo 랭킹107위
최고 Elo 랭킹 달성일1950년 2월
최저 Elo 랭킹233위
최저 Elo 랭킹 달성일2012년 9월
유니폼
홈 유니폼 상의 색상34aa49
홈 유니폼 하의 색상34aa49
홈 유니폼 양말 색상34aa49
원정 유니폼 상의 색상FF0000
원정 유니폼 하의 색상000000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000000
경기 기록
첫 경기세인트루시아 3–0 몬트세랫 (1991년 5월 10일, 세인트루시아)
최대 점수차 승리영국령 버진아일랜드 0–7 몬트세랫 (2012년 9월 9일, 마르티니크 포르드프랑스)
최대 점수차 패배버뮤다 13–0 몬트세랫 (2004년 2월 29일, 버뮤다 해밀턴)
월드컵 기록
월드컵 출전 횟수0회
첫 월드컵 출전해당 정보 없음
월드컵 최고 성적해당 정보 없음
지역 대회 기록
지역 대회 이름The Other Final
지역 대회 출전 횟수1회
첫 지역 대회 출전2002년
지역 대회 최고 성적준우승 (2002년)
기타 정보
최다 출장 선수 (다른 정보)딘 메이슨 (14회)
최다 득점 선수 (다른 정보)제일리 호지슨 및 브래들리 우즈-가네스 (각 4골)

2. 역사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 대회를 통해 국제 무대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초기에는 세인트루시아에 패하고, 앵귈라와 무승부를 기록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994년 몬트세랫 축구협회(MFA)가 설립되고 CONCACAF의 회원이 되면서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1995년 앵귈라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었으나, 곧이어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인해 큰 시련을 겪게 된다. 국토가 황폐화되고 많은 선수들이 해외로 이주하면서[1] 팀은 정상적인 활동을 이어가기 어려웠다. 1996년 FIFA 회원국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99년에야 다시 국제 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도미니카 공화국에 패하며 탈락했다. 같은 해, 부탄과의 '어나더 파이널' 경기는 전 세계 축구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후에도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등에서 연패를 거듭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2012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를 상대로 오랜만에 승리를 거두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8년 윌리 도네치 감독 부임 이후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몬트세랫 축구 역사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91년 ~ 1995년)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5월 10일 카리브컵 대회에서 첫 시니어 경기를 치르며 국제 축구 무대에 데뷔했다. 첫 경기에서 세인트루시아에 3-0으로 패했지만, 앵귈라와의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992년과 1994년 카리브컵에서는 세인트키츠 네비스앤티가 바부다에 크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1994년에는 몬트세랫 축구협회 (MFA)가 설립되었고, CONCACAF의 회원이 되었다.

1995년 3월 26일, 몬트세랫은 앵귈라를 상대로 첫 국제 홈 경기를 치러 3-2로 승리하며 역사적인 첫 승을 기록했다. 이후 앵귈라와의 경기에서 다시 한번 승리하며 1995년 카리브컵 2차 예선에 진출했지만,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20-0으로 크게 패하며 탈락했다.[1]

2. 2. 화산 폭발과 시련 (1995년 ~ 2002년)

1995년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몬트세랫의 수도 플리머스가 파괴되고 섬 전체가 큰 혼란에 빠졌다.[1] 많은 축구 선수들이 영국 등으로 이민을 가면서[1]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한동안 경기를 치르기 어려웠다. 1996년 FIFA 회원국이 되었지만, 1999년 1999년 카리브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하기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1998년 FIFA 월드컵에는 화산 활동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고,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이 첫 월드컵 도전이었으나 도미니카 공화국에 6-1로 패하며 탈락했다. 2001년에는 새로운 경기장 건설 자금을 모으기 위해 잉글랜드 축구협회를 방문했고, 얼마 후 블레이크스 에스테이트 스타디움이 개장했다.

200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이 열린 2002년 6월 30일, 몬트세랫은 부탄과 "어나더 파이널"이라는 이름의 친선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는 세계 최하위 팀 간의 대결로, 팀푸에서 1만 5천 명의 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부탄이 4-0으로 승리했다.

2. 3. 침체와 재도약 (2006년 ~ 현재)

몬트세랫은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버뮤다에 20-0으로 크게 패하며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1] 이후 2005년 카리브컵에 참가했지만, 역시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1차 예선에서는 수리남에 7-1로 패했다.[1]

2012년 5월 19일에는 네트워크 레일 XI와의 친선 경기를 4-4 무승부로 마쳤다. 몬트세랫은 2012 카리브해 챔피언십 예선 경기에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를 7-0으로 이기며 1995년 이후 첫 승리이자 FIFA 가입 이후 첫 승리를 거두었다.

윌리 도네치 감독의 합류와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출범으로 몬트세랫의 운명은 2018년에 극적으로 바뀌었다.[1] 4경기 중 3경기를 승리했지만, 골득실 차로 2019 CONCACAF 골드컵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후 첫 시즌에서 2승 2무 2패를 기록하며 조 2위를 차지, 2부 리그에 잔류했다.

2022년 윌리 도네치 이후 맷 록우드가 감독 겸 기술이사를 맡았고, 2023년 3월에는 크레이그 이스턴과 데이비드 프리이스가 코치로 합류했다.[2][3] 몇 달 후인 9월 8일에는 리 보이어가 몬트세랫 감독으로, 스티브 갤런이 코치로 취임했다. 첫 경기에서 바베이도스를 99분 극장골로 이기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조 2위에 올랐다.

3. 국제 대회 기록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과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카리브컵에서는 1995년에 2차 예선까지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FIFA 월드컵몬트세랫은 1998년 FIFA 월드컵에 섬의 화산 폭발로 인해 불참했고, 이후 예선에서 계속 탈락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는 2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몬트세랫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CONCACAF 골드컵몬트세랫은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1991년 대회부터 꾸준히 예선에 참가했지만 번번이 탈락했고, 1993년, 1998년, 2007년, 2009년, 2017년 대회에는 불참, 2003년 대회에는 기권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몬트세랫은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11위를 기록하여 리그 B에 편성되었다. B조에서 2승 2무 2패, 조 2위로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1라운드에 진출했다.[1] 2022-23 시즌 리그 B에서는 1승 1무 4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리그 C로 강등되지는 않았다. 2023-24 시즌 리그 B에서는 3승 3패, 조 3위로 몬트세랫 축구 역사상 국제 대회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다.
카리브컵몬트세랫은 1991년 카리브컵에 처음 참가하여 세인트루시아에 3-0으로 패하고, 앵귈라와 1-1로 비겼다.[1] 이후 1992년, 1994년 대회에서 예선 탈락했다. 1995년에는 앵귈라를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지만,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크게 패하며 탈락했다.[1]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 이후 한동안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1999년 카리브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탈락했다.[1] 이후에도 카리브컵 예선에서 계속 탈락했으며, 2017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3. 1. FIFA 월드컵

몬트세랫은 1998년 FIFA 월드컵에는 섬의 화산 활동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했고,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했지만 도미니카 공화국에 1-6으로 패하며 탈락했다.[1] 몬트세랫은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에도 참가했지만, 버뮤다에 0-20으로 크게 패하며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1차 예선에서는 수리남에 1-7로 패했다.[1]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는 A조에서 2승 2무를 기록하며 조 2위를 차지, 몬트세랫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 ~ 1994년비회원국
1998년불참
2002년 ~ 2018년예선 탈락



년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30년 ~ 1994년비회원국
1998년불참
2002년2002160
2006년20020200
2010년1001170
2014년2002380
2018년2011341
합계90188451
순위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13위 (북중미 34위)


3. 2. CONCACAF 골드컵

몬트세랫은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1991년 대회부터 꾸준히 예선에 참가했지만 번번이 탈락했다. 1993년, 1998년, 2007년, 2009년, 2017년 대회에는 불참했고, 2003년 대회에는 기권했다.

개최 연도결과
1991년예선 탈락
1993년불참
1996년예선 탈락
1998년불참
2000년예선 탈락
2002년예선 탈락
2003년기권
2005년예선 탈락
2007년불참
2009년불참
2011년예선 탈락
2013년예선 탈락
2015년예선 탈락
2017년불참
2019년예선 탈락


3. 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11위로 리그 B에 편입된 몬트세랫은 도미니카 공화국, 세인트루시아, 엘살바도르와 함께 B조에 배정되어 6경기 2승 2무 2패, 조 2위로 202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1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었다.[1]

2022-23 시즌 리그 B에서는 아이티, 가이아나, 버뮤다와 함께 B조에 편성되어 6경기 1승 1무 4패, 조 최하위로 떨어졌으나 리그 C로는 강등되지 않았다.

2023-24 시즌 리그 B에서는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바베이도스와 함께 B조에 편성되어 6경기 3승 3패, 조 3위로 몬트세랫 축구 역사상 국제 대회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다.

3. 4. 카리브컵

몬트세랫은 1991년 카리브컵에 처음 참가하여 세인트루시아에 3-0으로 패하고, 앵귈라와 1-1로 비겼다.[1] 1992년 대회에서는 세인트키츠 네비스앤티가 바부다에 크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1994년 대회에서도 같은 두 팀에게 17골을 실점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1995년에는 앵귈라를 상대로 홈에서 3-2,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지만,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20-0으로 패하며 탈락했다.[1]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인해 한동안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1999년 카리브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패하며 탈락했다.[1] 이후 2005년, 2010년, 2012년, 2014년 카리브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모두 탈락했다.[1] 2017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몬트세랫의 카리브컵 최고 성적은 1995년 2차 예선 진출이다.

개최년도결과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89불참
1990불참
1991예선 탈락
1992예선 탈락
1993불참
1994예선 탈락
1995예선 탈락
1996불참
1997불참
1998불참
1999예선 탈락
2001예선 탈락
2005예선 탈락
2007불참
2008불참
2010예선 탈락
2012예선 탈락
2014예선 탈락
2017불참
합계0/19


4. 선수

지난 12개월 동안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전 경기 수득점 수최근 차출
GK키마니 넬슨(Kymani Nelson)2004년 3월 4일영어60파나마전, 2024년 6월 9일
DF딘 메이슨(Dean Mason)1989년 2월 28일영어280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DF크레이그 브래햄-배럿(Craig Braham-Barrett)1988년 9월 1일영어290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DF레니 시리노(Lenni Cirino)2003년 1월 25일영어40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전, 2024년 9월 8일
DF래프 시리노(Raff Cirino)2007년 2월 3일영어20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전, 2024년 9월 8일
DF조이 테일러(Joey Taylor)1997년 8월 18일영어231파나마전, 2024년 6월 9일
DF제리엘 도셋(Jeriel Dorsett)2002년 5월 4일영어70파나마전, 2024년 6월 9일
MF제임스 컴리(James Comley)1991년 1월 24일영어231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MF칼림 사이먼(Kaleem Simon)1996년 7월 8일영어183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전, 2024년 9월 8일
MF시드니 멘데스(Sydney Mendes)2003년 7월 2일영어00바베이도스전, 2023년 11월 24일
MF마크 로저스(Mark Rogers)2002년 5월 6일영어00바베이도스전, 2023년 11월 24일
FW라일 테일러(Lyle Taylor)1990년 3월 29일영어2013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FW제이미 앨런(Jamie Allen)1995년 5월 25일영어150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FW브래들리 우즈-가네스(Bradley Woods-Garness)1986년 6월 26일영어194보네르섬전, 2024년 10월 10일
FW에이드리언 클리프턴(Adrian Clifton)1988년 12월 12일영어236바베이도스전, 2023년 11월 24일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과의 경기 및 2024년 11월 17일 엘살바도르와의 경기를 위한 2024-25 CONCACAF 네이션스리그 B 명단에 소집된 선수들이다.[9]

'''2024년 11월 17일 엘살바도르(SLV, El Salvadores)와의 경기 후 기록된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현재 선수 명단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전 경기 수득점 수소속 클럽
1GK트렌트 카터-로저스(Trent Carter-Rogers)2006년 4월 23일|2=(만 18세)영어60한웰 타운
13GK코린 브룩스-미드(Corrin Brooks-Meade)1988년 3월 19일|2=(만 36세)영어230소속 없음
4DF니코 고든(Nico Gordon)2002년 4월 28일|2=(만 22세)영어120노스 텍사스
5DF도너본 다니엘스(Donervon Daniels)1993년 11월 24일|2=(만 30세)영어81월솔
6DF맥키 타운젠드-웨스트(Mackye Townsend-West)2003년 8월 1일|2=(만 20세)영어30웨어
16DF저네이드 미드(Jernade Meade)1992년 10월 15일|2=(만 31세)영어150세인트 아이브스 타운
21DF루카스 키르논(Lucas Kirnon)2003년 10월 25일|2=(만 20세)영어120톰슨 리버스 울프팩(Thompson Rivers WolfPack)
22DF바시른 로치(Vashirn Roache)2005년 7월 7일|2=(만 18세)영어00하트퍼리 칼리지(Hartpury College)
3MF루이스 더베리(Lewis Duberry)2003년 3월 7일|2=(만 21세)영어90킹스 랭글리
8MF브랜든 컴리(Brandon Comley)1995년 11월 18일|2=(만 28세)영어220월솔
18MF알렉스 다이어(Alex Dyer (footballer, born 1990))1990년 6월 11일|2=(만 33세)영어360윌드스톤
20MF밀란 벤자민(Mylan Benjamin)2004년 9월 21일|2=(만 19세)영어80소속 없음
7FW브랜든 바지(Brandon Barzey)1999년 7월 27일|2=(만 24세)영어174헤멜 햄프스테드 타운
11FW시겔 로드니(Seigel Rodney)2003년 10월 2일|2=(만 20세)영어50Pigotts SC영어
12FW도미닉 리치몬드(Dominic Richmond)2006년 3월 18일|2=(만 18세)영어101소속 없음
17FW애슐리 보츠웨인(Ashley Boatswain)2005년 4월 19일|2=(만 19세)영어61입스위치 타운
19FW요시아 다이어(Josiah Dyer)2004년 9월 24일|2=(만 19세)영어91반즐리


4. 2. 주요 선수

'''굵은''' 글씨는 현재 몬트세랫 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이다.

딘 메이슨은 몬트세랫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 중 한 명이다.


순위선수출전 경기 수득점활동 기간
1알렉스 다이어3602011년–현재
2크레이그 브래험-배럿2902018년–현재
3딘 메이슨2802012년–현재
4에이드리언 클리프턴2362015년–현재
조이 테일러2312018년–현재
제임스 컴리2312015년–현재
코린 브룩스-미드2302015년–현재
8브랜든 컴리2202018년–현재
9라일 테일러20132015년–현재
10브래들리 우즈-가네스1942012년–현재


5. 감독

윌리 도네치 감독 부임 이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출범과 함께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의 운명은 2018년에 극적으로 바뀌었다.[1] 2022년 도네치 감독의 후임으로 맷 록우드가 감독 겸 기술이사를 맡았고, 2023년 3월에는 크레이그 이스턴과 데이비드 프리이스가 코치진에 합류했다.[2][3] 같은 해 9월 8일, 리 보이어가 몬트세랫 대표팀 감독으로, 스티브 갤런이 코치로 취임했다.

5. 1. 역대 감독


  • 폴 모리스 (2000년–2002년)
  • 윌리엄 루이스 (2002년–2004년)[7][8]
  • 스콧 쿠퍼 (2004년)
  • 루엘 폭스 (2004년)
  • 세실 레이크 (2008년)
  • 케니 다이어 (2008년–2013년)
  • 레니 휴렛 (2013년–2015년)
  • 윌리 도네치 (2018년–2022년)
  • 맷 록우드 (2023년)
  • 리 보이어 (2023년–)

5. 2. 현재 코칭 스태프

현재 코칭 스태프
직책이름
감독리 보이어[2][3]
코치스티브 갤런[2][3]
코치크레이그 이스턴[2][3], 데이비드 프리이스[2][3]


6. 유니폼

1991년 첫 경기 이후 몬트세랫 대표팀은 보통 녹색 유니폼을 사용해왔는데, 무지 녹색[5] 또는 녹색과 흰색 줄무늬[6] 유니폼이었다. 현재 원정 유니폼은 빨간색 상의, 반바지, 양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s worst team reinvented after disaster https://www.bbc.com/[...] 2022-09-22
[2] 웹사이트 'It's stripping football right back to what everyone fell in love with, taking it back to its roots.' https://www.newslett[...] 2023-03-23
[3] 웹사이트 EXCLUSIVE: Former Dundee United ace Craig Easton opens up on shock international adventure in the Caribbean — alongside ex-Dens Park hero https://www.thecouri[...]
[4] 웹사이트 The FIFA/Coca-Cola World Ranking - Ranking Table https://www.fifa.com[...]
[5] 웹사이트 The Montserrat Miracle Men March On http://pressfrom.inf[...]
[6] 웹사이트 2018 FIFA World Cup Russia – Teams – Montserrat – Profile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2002 FIFA World Cup Korea/Japan ™ https://web.archive.[...] FIFA.com
[8] 웹사이트 CNNSI.com – CNNSI.com's complete coverage of the FIFA World Cup – Bhutan routs Montserrat in 'other final' – Sunday June 30, 2002 05:39 AM https://web.archive.[...] Sports Illustrated 2002-06-30
[9] 웹사이트 Final Squad https://www.instagra[...] Montserrat Football Association
[10] 웹사이트 Montserrat https://www.national[...]
[1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http://www.elorating[...]
[12] 웹사이트 Montserrat miss out on first Gold Cup qualification https://www.euronews[...] 로이터 2019-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